설 연휴 동안 갑작스러운 몸 상태 이상이나 약이 필요한 상황이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보건복지부는 설 연휴와 주말, 공휴일을 포함한 8일 동안 문을 여는 병·의원과 약국 정보를 응급의료포털 '이젠(e-gen)'을 통해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.
올해 설날 당일에도 전국적으로 2600여 개 병·의원이 운영될 예정이라, 국민들이 연휴 기간에도 적시에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접근성을 강화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설 연휴 동안 병·의원과 약국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과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꿀팁을 알려드립니다.
설 연휴 진료 병·의원과 약국 확인 방법
① 응급의료포털 '이젠' 활용하기
- '이젠(e-gen)'은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응급의료포털로, 설 연휴 동안 문을 여는 병·의원과 약국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모바일과 PC 모두 지원되며, 검색창에 지역명과 원하는 의료시설 종류를 입력하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.
② 네이버 지도 & 카카오맵 활용
-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에서도 '명절진료' 또는 '응급진료' 탭을 통해 운영 중인 병·의원과 약국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.
- 위치 기반 서비스를 활용해 가까운 의료기관을 빠르게 찾는 데 유용합니다.
③ 전화 상담 서비스
- 보건복지부 콜센터(129): 가까운 병·의원과 약국 정보를 상담원에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.
- 시·도 콜센터(120): 지역별 의료기관 정보를 상세히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- 119 구급상황관리센터: 증상 상담 및 적합한 응급실 안내까지 가능합니다.
응급 상황 대처: 중증 vs 비중증 구분하기
연휴 동안 몸 상태가 좋지 않다면 동네 병·의원 또는 작은 응급실(지역응급의료기관)을 우선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.
① 비중증 증상
- 갑작스러운 감기, 소화불량, 가벼운 통증 등
- 대형 병원 대신 동네 병·의원에서 진료받고, 필요한 경우에만 상급 의료기관으로 이송됩니다.
② 중증 증상
- 호흡곤란, 팔다리 저림, 혀 마비 등
-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119에 연락해 증상 상담을 받으세요.
- 구급대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가장 적합한 의료기관으로 이송해 줍니다.
☑️ 설 명절 음식 걱정 끝! 맛있게 먹고 건강 지키는 비결
설 명절 음식 걱정 끝! 맛있게 먹고 건강 지키는 비결
설 명절이 다가오면 맛있는 전통 음식이 우리를 유혹합니다. 떡국, 전, 잡채, 식혜 등 명절 음식은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돌죠. 하지만 이런 음식들은 탄수화물과 지방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아 건
mmshow.tistory.com
설 연휴 응급의료체계 운영 상황
보건복지부와 지자체는 연휴 동안 응급진료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며 응급의료 공백을 방지할 계획입니다.
① 발열 클리닉 운영
- 전국 135개 의료기관에서 호흡기 질환 유행에 대비해 발열 클리닉을 지정·운영 중입니다.
- 발열 증상이 있거나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, 발열 클리닉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② 운영 병·의원과 약국 현황
- 하루 평균 1만 6800여 개 병·의원과 9000여 개 약국이 운영됩니다.
- 특히 설날 당일에도 2600여 개 병·의원이 문을 열어 국민들이 안심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습니다.
설 연휴 건강 관리 꿀팁
- 비상약 챙기기
- 설 연휴 전 미리 약국에서 감기약, 소화제, 해열제 등 기본적인 비상약을 준비해 두세요.
- 응급 상황 대비 전화번호 저장하기
- 129(보건복지부), 120(시·도 콜센터), 119(구급상황센터)를 휴대폰에 저장해 두면 필요할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- 음식 조절하기
- 명절 음식으로 인한 소화불량이나 체하지 않도록 과식은 피하고,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곁들여 드세요.
설사 멈추는 법, 이렇게 하면 빠르게 해결된다!
갑작스러운 설사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불편한 상황입니다.단순히 음식 문제일 수도 있지만,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가능성도 있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설사의 주요 원인과 멈추는 방법, 그리고
mmshow.tistory.com
연휴에도 건강하게, 안전하게!
설 연휴 동안에도 병·의원과 약국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. 응급의료포털 '이젠', 네이버 지도, 카카오맵 등 여러 채널을 적극 활용해 연휴 기간 갑작스러운 몸 상태 이상에도 대비해 보세요.
국민들의 안전한 설 연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지자체가 응급의료체계 운영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니, 필요한 경우 적절히 의료 서비스를 활용하며 건강한 명절을 보내시길 바랍니다. 😊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건증이란?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완벽 가이드 (3) | 2025.04.29 |
---|---|
설 명절 과음 후 숙취 탈출! 나물·동치미·북엇국으로 속 편안하게 (0) | 2025.01.27 |
차량 유리에 생기는 성에, 예방과 제거법 총정리 (1) | 2025.01.15 |
디젤차 운전자라면 필독! 겨울철 연료 필터 관리가 중요한 이유 (0) | 2025.01.15 |
겨울철 차량 성능 저하? 점화플러그 문제를 의심해야 할 때 (0) | 2025.01.13 |
댓글